곧 통신사 계약이 종료된다. 그냥 계약 없이 사용하던지, 계약을 하고 요금을 할인받던지, 알뜰폰 요금제로 변경을 하던지 3가지 선택지에서 선택을 해야 한다. 핸드폰을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그냥 통신사 요금제를 사용하는 것은 관성에 따라가는 것처럼 느껴지기에 찾아보게 되었다.
알뜰폰 요금제에 대하여
1. 알뜰폰 요금제란?
2. 어디서 정보를 찾을 것인가
3. 가격이냐 서비스냐
4. 선택 과정
1. 알뜰폰 요금제란?
가상 이동망 사업자(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의 약자이다. 이동통신망을 갖추지 못했지만, 네트워크 운용사업자에게 망을 빌려 보다 저렴하게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요금제이다. 주파수는 한정된 자원으로 사용권을 획득한 사업자는 소수이다 보니 품질과 가격이 고착화되었다. 이에 경쟁을 통해 문제를 개선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2. 어디서 정보를 찾을 것인가
검색해보면 수많은 광고와 소음밖에 질리게 된다. 어떤 콘텐츠를 클릭해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 사업자들을 정부에서 관리하고 있을 테니 객관적인 자료도 있을 거라는 생각에 찾아보니 현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경쟁정책과 담당이다. 홈페이지 -> 보도자료 -> 알뜰폰으로 검색하면 관련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3. 가격이냐 서비스냐
'210721 알뜰폰 이용자 보호 실태점검 결과 발표'를 보면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음성전화를 제공하는 48개 사업자가 대상이라고 나와있다. 이 말은 소비자는 최소 48개 MVNO 사업자라는 선택지가 있다는 말과 같다. 다만, 규모가 작은 일부 사업자의 경우 콜센터 규모의 정량기준인 '가입자 1만 명당 콜센터 직원 1명'보다 미달되어 운영 중이라고 한다. 여기서 가격비교만을 통해 선택을 할지, 기업 규모를 보고 선택할지 기로에 놓이게 된다.
4. 선택 과정
스마트 초이스(https://www.smartchoice.or.kr/)는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이다. 여기서 가격비교를 통해 사업자를 선정하자. 가격비교를 통해 추천을 받았으면 그 사업자의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알아볼 수 있다. 최소한 이 기준을 충족한 사업자를 선정해야 그나마 나을 거 같다.
ex) 스마트 초이스 -> 이용패턴 기반 요금제 추천 -> 설정 후 검색 -> (ex. sk 7 mobile) 홈페이지 접속 - 스크롤을 최 하단으로 내림 -> 사업자 상호 확인(sk 7 mobile는 브랜드, sk telink가 상호로 확인 ) ->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 접속 -> sk telink 검색(한글로 '에스케이텔링크'로 검색해야 됨) -> 여기에서 검색이 되면, 회사 규모가 있어서 여러 가지 법을 지켜야 한다고 추측할 수 있음. 검색이 안되면(ex. 코드모바일) 규모가 작은 사업자로 가격이 저렴한 대신에 서비스면에서 마음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판단된다.
정리
요즘은 근거 있는 정보 찾기가 시간이 지날수록 힘들어지는 거 같다. 통신 사업자의 정책은 수시로 바뀐다. 내가 가입하는 시점에는 분명 조건이 달라져있을 확률이 높다. 검색해서 나오는 것들은 어떤 사업자 추천, 요금제 추천이 대부분이다. 무엇을 확인해야 되는지만 안다면 선택은 어렵지 않다.
'일상에 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수위 새정부 미래 먹거리 분야 국가전략 발표 (0) | 2022.04.26 |
---|---|
3. 알뜰폰 요금제로 변경 후 변화 (0) | 2022.04.16 |
2. 알뜰폰 요금제로 변경 (0) | 2022.02.23 |
영화관람권 연장, 취소, 환불에 대하여 (0) | 2022.02.22 |
댓글